서로 사랑하라
-
대전시지체장애인협회 조회수:565
- 2019-08-26 16:28:11
서로 사랑하라
시각장애 김지선 씨의 삶 - ①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9-08-26 15:26:42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 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세는 차디찬 티끌이 되어서,
한숨의 미풍에 날아갔습니다,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指針)을 돌려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을 만들고 마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어부었습니다,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만해 한용운(萬海 韓龍雲)의 ‘님의 침묵’이라는 자유시다. ‘님의 침묵’은 한국 근대시사에 있어서 기념비적 시집의 하나라고 한다. ‘님의 침묵’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에 발간되었다. 따라서 이 시에서 핵심적인 시어인 ‘님’은 잃어버린 조국이라고 했다.
저자 한용운은 시인이고 승려이고 독립운동가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인 중의 한 명이다. 한용운이 말하는 ‘님’은 조국이나 연인이나 절대자를 넘어 삼라만상에 존재하는 생명의 역동성일지도 모른다.
한용운은 ‘님의 침묵’에서 표면적으로는 ‘님’과의 이별이다. 그의 님은 갔지만 그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다는 역설적 표현은 이별의 아픔을 넘어서고자 하는 극복 의지가 내포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님의 침묵’에서 줄 바꿈은 필자가 임의로 한 것임.
필자가 김지선 씨를 만났을 때 좋아하는 시가 있느냐고 물었더니 한용운의 ‘님의 침묵’이라고 했다. 왜 어쩌다가 ‘님의 침묵’을 좋아하게 되었을까.
“지금은 빼앗긴 조국도 없고, 헤어진 연인도 없는데 그런데도 ‘님의 침묵’이 좋은 것은 뭔가 제가 바라고 기다리는 게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김지선(1996년생) 씨는 경상북도 구미에서 태어났다. 부모님에게는 어렵게 얻은 첫딸인데 미숙아였다. 태어나자마자 인큐베이터에 있었는데 눈을 뜨지 못했다. 미숙아 망막병증이었다.
미숙아 망막병증이란 미숙아, 특히 저체중출생아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출생 시 망막의 혈관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미숙아에게 출생 후 혈관형성 과정에 장애가 발생하면 망막의 혈관형성부위와 혈관무형성 부위의 경계에서 비정상적인 섬유혈관증식이 발생한다. 이것이 더욱 진행하여 망막이 박리되면서 최종적으로는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질병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지선 어머니 : “결혼 10년 만에 나은 아이였어요. 출산을 두 달 앞두고 8개월 만에 지선이를 낳았죠. 그런데 앞을 못 본다니…. 정말 받아들이기 힘들었어요. 그래서 심한 우울증까지 앓았습니다.”
1kg의 미숙아에게 세상의 빛은 허락되지 않았다. 8개월 만에 태어난 아이는 축복을 받기도 전에 어머니의 흐느낌을 먼저 들어야 했던 것일까. 어머니의 기억 속에 지선이는 새 생명의 탄생이라는 기쁨보다 차라리 아픔이었다. 그러나 아이는 자신이 시각장애인이라는 사실도 모른 채 귀에 들리는 소리와 감각으로 세상을 천진난만하게 살아내고 있었다.

어머니도 그때서야 놀라서 근처 피아노 학원으로 아이를 데려갔다. 그런데 피아노 학원에서는 눈 감은 네 살 자리 꼬마를 보고는 난색을 보였다.
김지선 : “엄마가 학원 선생에게 피아노를 한 번만 치게 해달라고 사정을 했습니다.”
선생은 마지못해 피아노를 치게 했다. 그동안 어머니 뜨게 방에서 장난감 피아노만 쳐보았을 뿐 진짜 피아노는 처음이었다. 그럼에도 눈 감은 아이는 불안이나 두려움 같은 것을 몰랐는지 피아노를 잘 쳤다.
김지선 : “학교종이 땡땡땡 외에 지금도 잊히지 않는 곡은 미레미레미시레도라……. ‘엘리제를 위하여’ 입니다.”
학원 선생은 눈감은 네 살 자리 꼬마애가 엘리제를 위하여를 치는 것을 보고는 깜짝 놀랐다.
김지선 : “동요 테이프에 그 곡이 있었는지, 저도 사실 그 곡을 어디서 듣고 배웠는지 잘 모릅니다.” [2편에 계속]
* 이복남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하사가장애인상담넷(www.gktkrk.net)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복남 기자 (gktkrk@naver.com)